개독교 (3) 썸네일형 리스트형 1.7 논리, 우주론 Logic & Cosmology #1 앞서 언급된 학문의 전문적인 지식은 특별한 교육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럼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어쩌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영역을 활용해보려 합니다. 특별히 전공하지 않아도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사고능력. 이르면 고대이집트까지 갈 수 있겠지만, 기원전 6세기 후반의 고대 그리스, 피타고라스의 시대 때부터 발전한 논리학. 이 논리적 사고를 통해 어쩌면 비논리적일 수 있는 기독교의 일부를 이해해보려 합니다. 논리적으로 신을 배제한 채로 이 세상의 현재를 설명하려면 넘어야할 네 가지 의문이 있습니다. 어떻게 무에서 유가 발생했는가? (From nothing to something) 어떻게 무생물로부터 생물이 발생했는가? (From non-life to life) 어.. 1.6 의심의 해석학 : doubt your doubts #1 LENS 사회학을 공부하신 분들은 이런 믿음이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 거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심리학을 공부하신 분들은 불안한 삶 속에서 종교를 통해 심리적 위안을 얻기 위해 선택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정치학을 공부하신 분들은 마르크스의 이론을 참고하여 권력통제의 수단으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철학을 공부하신 분들은 쉽게 잘못 인용되고 있는 ‘신은 죽었다’라는 말을 통해 신이 필요없어진 이 시대를 설명하려고 하실 수 있구요. 음악을 좋아하시는 비틀즈의 팬이라면 존 레논의 ‘imagine’의 가사를 떠올리며 종교가 없는 세상이 평화로운 세상이라고 생각하실수도 있겠네요. 진화론적인 관점에선 종교가 인류의 생존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현대사회까지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고 해석하실 수 있겠구요.. 1.3 두 가지 현실 속에서 Two Realities #1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은 적어도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내가 경험할 수 있는 주관적 현실이라는 것과 개인적인 경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객관적인 현실이 존재합니다. 한 사람이 살아가면서 경험할 수 있는 한정된 시간과 공간 속에 국한되지 않는 궁극적인 현실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At least, there are two kinds of reality we live in. The subjective reality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and the objective reality which is unaffected by personal experience. I want to talk about the ultimate reality that is not const..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