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

(4)
성경이 노예 제도를 지지하나요? (1부) feat. 스티븐 핑커 성경이 노예 제도를 지지하나요?Does the Bible condone slavery?"(생략)...성경은 사실 기나긴 폭력의 찬미나 다름없다. 성경에 묘사된 세상은 현대인의 눈으로 보면 혼비백산할만큼 야만스럽다. 사람들은 친족을 노예로 부리고 겁탈하고 죽였다...(생략)...성경 작가들은...(중략)...노예제를 그릇된 일로 보지 않았다. 당시에는 관습과 권위에 대한 무조건적 복종에 비하면 사람의 목숨 따위는 중요한 가치가 아니었다." 출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2014)(원제: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스티븐 핑커, (번역: 김명남) | 사이언스북스 한 네이버 블로거가 발췌한 글을 통해 접하게 된 스티븐 핑커의 글입니다.※참고: 이 분이 발췌하는 분량 (여러 문..
다윗 신화설/역사성 조사 후기 (다윗을 찾다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센세이셔널리즘을 발견하다 Sensationalism in the Post-Modern era 검증할 수 없는 초자연적인 내용을 배제하더라도 역사적 순서에 대해 기록으로서 성경을 인정하는 맥시멀리즘(Maximalism)학파. 그리고 일단 성경은 종교 경전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기록만 인정해야 한다는 미니멀리즘학파(Minimalism). 총 5부에 걸쳐 성서고고학자의 강의 내용(2~4부), 한국언론(한겨례신문)의 기대감 넘치는 기사와 성서고고학회(BAR)의 리뷰를 대조해보니(5부) 큰 그림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공부할 때 의견(opinion)과 사실(fact)과 느낌(feeling)을 구분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소통이 어렵다고 배웠습니다. 기사를 볼 ..
다윗은 실존인물인가요 ? (5부: 언론기사, 반대의견에 대한 성서고고학회의 평가, 쟁점 요약) feat. 이스라엘 핑켈스타인 구약성경/성서에 나온 다윗이 역사적인 실존인물일까요? 아니면 일부 사람들이 믿듯이 허구의 캐릭터일까요? 아니면 실존하긴 했지만 작가 리처드 도킨스의 책에서 주장하듯 왕이 아니라 족장 정도의 인물이었을까요? 아니면 한겨례신문 선임기자님의 시리즈에서 말하는 것처럼 정치적 목적을 정당화하고자한 후세가 기록한 허구일까요? 그렇게 주장하는 근거는 존재할까요? 4부에 이어 다윗은 실존인물인가요 ? (4부: 추가 발굴 자료, 반대의견, 언론기사 및 학회의 평가) feat. 이스라 구약성경/성서에 나온 다윗이 역사적인 실존인물일까요? 아니면 일부 사람들이 믿듯이 허구의 캐릭터일까요? 아니면 실존하긴 했지만 작가 리처드 도킨스의 책에서 주장하듯 왕이 아니라 족장 bitl.tistory.com 성서고고학계의 미니멀리스트 ..
다윗은 실존인물인가요 ? (4부: 추가 발굴 자료, 반대의견) 구약성경/성서에 나온 다윗이 역사적인 실존인물일까요? 아니면 일부 사람들이 믿듯이 허구의 캐릭터일까요? 아니면 실존하긴 했지만 작가 리처드 도킨스의 책에서 주장하듯 왕이 아니라 족장 정도의 인물이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위해 이 시리즈가 시작되었습니다. , 에 이어 계속 다윗은 실존인물인가요 ? (2부: 고고학자들의 의견 변화) 1부 (서론)에서 고고학적 데이터를 공평한 평가할 수 있도록 우리 안의 잣대에 대한 점검할 수 있는 질문을 던져보았습니다. 공정한 시선을 갖기 위해선 내가 가진 (혹은 가질 수 밖에 없는) 편견 bitl.tistory.com 다윗은 실존인물인가요 ? (3부: 히르벳 케야파 발굴 자료 해석) 성경/성서에 나온 다윗이 역사적인 실존인물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위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