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독교말고 기독교 (Making Sense of Christianity)

1.9 사회학의 반문 (feat. 조던 피터슨)

#1
우리는 우리가 태어난 환경, 문화적 배경의 영향을 받습니다.
아주 자연스럽게 우리 주위의 환경,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을 받아드리면서 자신의 세계를 구축해나가죠.
인지과학 실험 결과를 언급하며 말했듯이 우리 인간은 의심을 하는 것보다 무언가를 믿을 준비를 하고 태어난 것처럼 보입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 같기도 합니다.
사람은 태어나 자라면서 무엇을 배우기 위해서는 그걸 가르치는 사람을 믿어야 합니다.
받아들이기 위해선 먼저 ‘믿고’ 의심은 그 다음입니다.
처음부터 모든 걸 의심하는 아기는 새로운 걸 배우는 게 무척 느릴 겁니다.

우리는 우리에게 잘해주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한 사람을 좋아한다는 것은 그 사람이 가진 신념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 우리는 우리가 존경하는 사람의 신념을 따르기도 합니다.
혹은 우리가 어울리고 싶어하는 그룹의 사람들이 믿는 걸 따라 믿는 경향이 있다고도 합니다.

한 사람이 살아오면서 그 주위 기독교인들이 훌륭한 인품으로 자신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면
그 사람은 기독교에 우호적인 감정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그 사람이 불쾌한 기독교인들에 둘러쌓여 자랐다면
그 사람은 기독교에 부정적인 감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건 심리학이기도 하지만 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라는 걸 말합니다.

피터 버거 (c) 위키피디아


#2
무신론 대 유신론의 토론에서 종종 나오는 내용이 있습니다.
무신론자가 질문합니다.

“당신은 그저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서 기독교를 믿게 된 겁니다. 만약 불교집안에서 태어났다면 불교를 믿었겠죠. 마찬가지로 무신론자 가정에서 태어났으면 무신론이었을 겁니다.”

그럼 유신론자가 대답합니다.
“당신이 무신론자인 이유는 무신론자 가정에서 태어났기 때문입니까?”

무신론자가 대답합니다.
“아니요. 전 제 입장에 대해서 충분히 생각해보고 결정했습니다.”

유신론자가 대답합니다.
“당신은 당신의 입장은 충분히 생각해보고 결정한 거라고 생각하지만,
제 입장은 충분히 생각하지 않았다는 판단은 합리적입니까? 편견입니까?”


#3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이고 인간의 신념은 사회적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어떤 사람이 믿는 것이 전적으로 사회학적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면 그건 지나친 단순화일 겁니다.

앞에서 객관적인 사실과 주관적인 경험에 대한 언급을 했었는데, 사회학적 분석은 결국 사회과학의 틀에서 한 사람의 주관에 대한 해석을 제시할 수 있지만 이것이 객관적인 사실이라고 입증할 수는 없습니다.

사회적 현상으로서 종교를 바라볼 때 의견과 의견이 마주하는 자리에서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그 현상의 발생원인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의미 있는 추론과 가설이 대립하는 분야인만큼 시대에 따라 늘 새로운 해석이 생길 수 있을 겁니다.


#4
현대인의 종교를 바라보는 시선에 영향을 미친 주요 인물 세 명을 뽑자면 심리학자 프로이트(Freud), 마르크스 (Karl Marx), 니체(Nitzsche)가 될 것 같습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꽃중년이었군요..)

프로이트는 아이와 부모의 관계 속에서 아이가 자기잘못에 대한 댓가를 치루며 합리화 하는 모습, 정당화(justification)를 발견합니다. 자신이 잘못한 것에 대해 후회하고 뉘우치고 용서를 받으며 마음 속의 불안을 없애는 거죠. 그리고 그게 인간과 종교의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 하기 위해 신을 만들어 냈다는 거죠.

칼 마르크스 (드워프 헤어스타일?)

한편 마르크스의 의견을 이렇습니다.
인간은 사회적인 이유로 자신이 속한 계층의 권력을 정당화 하기 위해서 종교를 이용한다고 주장합니다. 제국주의를 합리화 하기 위해서 종교가 사용되었고, ‘진리를 알고 있는 집단 또는 계층’이 이 진리를 모르는 다른 집단을 배제하고 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는 겁니다.

거기서 유명한 “종교는 인민의 아편(Opium des Volkes)”이란 말이 나옵니다.
당시 아편은 향락을 위한 마약이 아니었습니다.
의약품으로서의 마취제가 없어 사용되던 진통제였죠.
“사후 세계에 대한 희망” 을 위안으로 삼으며 사회 속의 고통을 이겨냈던 거라는 뜻으로 사용된 단어입니다.

역사를 돌아보면 일리가 있는 말인 것 같습니다.

프레드리히 니체 (사랑하는 여성의 선택받지 못한 이유는 수염스타일 때문?!)

마지막으로 니체는 정의를 주장하는 모든 이들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며 묻습니다.
서로 사랑하라고 말하는 이들의 동기가 정말 사랑인지 아니면 혁명을 막기 위해서 이렇게 얘기하는 건지.
그래서 니체가 말합니다. 비단 종교 뿐만이 아리나 모든 도덕적 주장은 권력을 위한 도구일 뿐이라고.


#5
이런 주장을 듣고 보면 다 말이 됩니다.
실제로 우리 사회에서 종교를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그들의 주장이 맞았다고 고개를 끄덕이게 되죠.

하지만 잠깐 멈춰서 다시 그들의 주장을 살펴보면 다른 면을 볼 수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말처럼 신이 있었으면 하는 인간의 바람 때문에 인간이 신을 만들었다는 주장.
그 반대로 적용해도 말이 됩니다.
신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진 사람은 없을까요?
선과 악에 대한 고민 없이 살고 싶어서 혹은 사회적 약자를 돌봐야하는 도덕적 의무를 무시하고 싶어서 신이 없길 바랄 수 있습니다.
어쩌면 성적으로 자유분방하게 살고 싶어서 성경에서 요구하는 성적 도덕이 무의미한 것이길 바랄 수 있습니다.

마르크스의 주장은 어떨까요? 마르크스의 유토피아를 꿈꾼 국가들의 현실을 보면 답을 알 수 있습니다. 프롤레타리아 계급은 정권교체 이후, 자본주의 사회와 다를 바 없이 다른 계층을 핍박하고 탄압합니다. 그들 역시 자신들의 주장을 통해 권력을 얻고 부패됩니다.

니체의 주장은 어떤가요?
모든 진리에 대한 주장, 모든 정의에 대한 주장은 다 권력을 위한 도구일 뿐이라며 부정합니다.

하지만 그가 말하는 그 주장 역시 일종의 진리로 작용을 하며, 다른 모든 주장 대신 자신의 진리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모순을 낳습니다. - "당신들은 다 틀렸어. (나만 맞아)"

<Freud and Philosophy>, 1965 Paul Ricoeur 

해석학의 대가들 중 하나인 프랑스 철학자 폴 리퀴르가 그렇게 역사 속의 '종교에 대한 의심' 그 자체에 의심을 적용 하면 위의 책을 썼던 것 같습니다.

내가 가진 진리 외에 다른 모든 의견은 진리가 아니라고 말하는 것만큼 절대적인 주장은 없죠.



#5
한편, 프로이트, 마르크스, 니체의 종교에 대한 해석에 대해 조던 피터슨은 이렇게 얘기합니다.

"That's an empty theory 그건 공허한 이론일 뿐입니다"

**Religion, Myth, Science, Truth** an evening of Darwinian thought with Dr. Jordan B. Peterson

조던 피터슨은 Religion, Myth, Science, Truth | an evening of Darwinian thought (다윈 사상의 밤?) 이벤트에서 아래와 같이 말했습니다.

"만약 당신이 똑똑하다면, 어떤 주요 동기 혹은 시스템, 인격, 권력, 성性 등을 근거로 삼아 모든 걸 설명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이 주요 동기부여 시스템 혹은 그 혼합물이 동기가 되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당신이 충분히 똑똑하다면, 언제나 어떤 복잡한 현상은 어떤 좀 더 단순한 동기와 인과 관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겁니다. 제 생각에 그건 지적인 자위일 뿐입니다. 그건 뭔가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아닙니다. 모든 걸 자기가 가장 잘 알고 있는 간단한 원칙으로 축소/단순화 시키려고 하려는 시도일 뿐입니다. "

"If you're smart, you can take major motivational drive or system, personality, like power, sex, and you can explain everything on its basis. Because every human action is motivated by the major motivational system, some admixture of them.
And then if you're smart enough, you can always figure out a way that some complex phenomena is related to causally to some simpler motivation. But it's intellectual masturbation, as far as I am concerned. It's not the attempt to explain something. It's the attempt to reduce everything to one simple principle that you can be master of."

조던 피터슨 2014년 인터뷰 **Religion, Myth, Science, Truth** an evening of Darwinian thought with Dr. Jordan B. Peterson


그렇지 않나요?

우리는 어떤 분야의 권위자가 그가 잘 알고 있는 지식의 시선으로 한 현상을 바라본 그 해석을 존중합니다. 특히 학생들의 경우, 자아가 성장하는 시기, 성인으로서 성장하는 시기에 그런 시선을 자신의 시선으로 받아드리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심지어 우리도 모르게 우리가 문화생활을 하며 즐겨온 영화 한 편, 소설 한 권이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시대가 지나고 돌아보니 프로이트는 모든 걸 다 '성性'의 관점에서 해석을 했고, 마르크스도 권력층이 통제를 위해 종교를 사용한다고 주장했고, 그 주장을 사용하여 집권한 새로운 세력은 또 다른 권력층이 되었을 뿐이었습니다.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았던 걸까요?
故 캠브리지 대학의 교수 스티븐 호킹은 말했습니다:

'Heaven is a fairy story for people afraid of the dark'

여기에 대해 옥스포드 대학 교수 존 레녹스는 말합니다.

'I could also say, that atheism is a fairy story for peolpe afraid of the light.
저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습니다. 무신론은 빛을 무서워 하는 이들을 위한 동화라고.

*좀 더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다음 글을 참고해주세요.https://bitl.tistory.com/12?category=989846

우주의 기원: 스티븐 호킹의 이론과 존 레녹스의 반론

우주에 관심이 없어도 우리가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주는 존재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주 속에서 존재하고 있습니다. 빅뱅이론을 통해 우주의 시작점이 있다는 게 가장 유력한 가설

bitl.tistory.com



이렇게 사회학 영역에서의 반문은 사회학의 승리가 아닌 동점으로 끝나게 되네요.

*다른 시선으로 접근해보고 싶으신 분께는 사회과학적 시선으로 기독교을 연구한 학자 로드니 스타크의 책을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소개글에 이렇게 쓰여 있네요.
기독교에 특별한 애정이 없는 종교사회학자가 특유의 시선으로 바라본 초기 기독교 발흥에 대한 탐구서다. 저자 로드니 스타크는 현대의 사회학적 이론과 분석 방법을 동원해 초기 기독교가 급성장 이유를 탐구한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6128435


이렇게 길고 긴 서론의 막을 내려봅니다.

진실이란 게 존재한다면
그건 아마 그걸 둘러쌓은 많은 거짓말들을 벗겨 내보면 남는 게 아닐까요?

만약 진실이란 게 존재한다면
역사 속에서 흔적을 남기지 않았을까요?

그 연구를 철학이 주도 하지 않는다면
과학적 연구를 통해서 드러나는 "객관적" 결과도
그 진실을 향해 가까워지는 걸 허락하지 않을까요?

단 한 번 발생한 특수한 사건, singularity.
빅뱅이 그렇겠고, 무생물로 가득하던 공간에서 처음 생명이 탄생했을 그 순간.
기독교인들이 믿는 성경은 신이 우주의 모든 것과 인간을 창조했다고 하고,
그걸 믿지 않는 사람들은 "진화"를 답으로 제시합니다.

이미 존재하던 생물들이 환경에 적응하며 발생한 변화로서의 진화는 과학적 사실입니다.
그걸 부정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진화가 시작하려면 일단 생명이 존재해야 합니다.
아무 것도 없던 우주에서 화학 원소만 존재한 상황에서 우연히 생명이 탄생했다는 걸 믿기 위해서는
"화학진화"를 믿어야 합니다.

그 첫 생명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이미 답이 나온 상태가 아닙니다.
교과서에 나온 것처럼 밀러-유리의 실험관에서 답을 찾은 상태가 아닙니다.

현대과학의 발전 속에 인간이 가진 우주학적 질문에서 우주 탄생의 기원점에 대한 연구가 있던 것처럼
생명체의 기원점에 대한 연구인 Origin of Life 에 대한 연구가 있습니다.

그 연구와 비평에 대해 알아보시면 우리가 가진 착각, 우리가 쉽게 믿어버린 아직 답이 나오지 않은 그 영역에 대해 살펴보시죠.
https://bitl.tistory.com/33

생명 기원의 미스터리: Part 1 (feat. Dr. James Tour)

1. aBioGenesis 무생물에서 시작된 생명? '화학적 진화' abiogenesis. 이 단어를 자세히 보면 '없음'을 뜻하는 a- 와 생명을 뜻하는 bio-, 그리고 시작을 뜻하는 genesis 를 볼 수 있습니다. (성경의 '창세기'가

bit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