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How complex is a “simple” cell ?
"단순" 세포는 얼마나 복잡한가요?
Every year we understand more about the complexity. So we are more befuddled now than we were in 1952.
매년 우리는 그 복잡성에 대해 알아가고 있습니다. 1952년보다 지금이 훨씬 더 어리둥절한 상태입니다.
Because we found that this is not just a massive protoplasm, highly complex envirionement.
이게 그저 거대한 원형질(protoplasm)이 아니라, 아주 복잡한 환경이란 걸 알았기 때문이죠.
So when a cell wants to move material from point A to point B. It’s a factory.
만약 세포가 어떤 물질은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옮기려고 할 때, (그 내부의 움직임은) 공장 같습니다.
You go to a factory. What do you see? You see these overhead carriers carrying? Machined parts from point A to Point B.
공장에 가시면 뭘 볼 수 있으시죠? 오버헤드 캐리어들이 움직이는 걸 보실 수 있죠? 부품들을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옮기는.
That’s exactly what happens in a cell. You want to carry material from point A to point B, a microtubule will form between point a and point B,
세포 안에서 바로 그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물질들을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옮기려고 하면 미세소관(微細小管)이 A와 B사이에 생기고,
and then materials will transfer across that.
미세소관을 지나서 그 물질들을 옮깁니다.
But then what happens is that microtubule, then dissolves, and then is reconstructed somewhere else - where you need other material transferred between any other two point.
그리고 그 미세소관이 어떻게 되냐면, 분해되고, 다른 물질의 이동이 필요한 곳으로 가서 재구축됩니다.
Why does a cell go through this? because if it kept all of those microtubules in place? - it would become too rigid, and couldn’t function and would run out of the building blocks to build more microtubules.
세포가 왜 이런 절차를 거치냐면 만약에 모든 미세소관들을 그대로 둔다면 (공간이 없어져서) 너무 뻣뻣해지고,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더 많은 미세소관을 만들어낼 구축단위가 고갈 될 겁니다.
So it has the ability to morph its structure of its factory on-the-fly.
그래서 세포는 구조를 그 자리에서 변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Something we don’t even know how to do.
우리도 어떻게 하는 지 모르는 그걸요.
The complexity of this is so grand, and the complexity becomes more and greater every day when we start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the interactome, which is not merely protein -protein. You have protein-protein, DNA interactions.
(세포의) 복잡성은 너무 웅장해서, 우리가 단순히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체의 복잡성을 이해하면 할수록 그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백질-단백질 간의, DNA상호작용이 있습니다.
The interactomes between these Van der Waals interaction, between these non-covalent -they’re non-covalent bonds. Just the way these two interact and information is passed through these non-covalent interactions, information is passed through something that physicist call virtual-photons.
이러한 비공유 결합 사이의 Van der Waals 상호 작용, 비공유 결합 입니다. 이 두 가지가 상호 작용하고, 이러한 비공유 상호 작용을 통해, 정보가, 물리학자가 가상 광자라고 부르는 무언가를 통해 전달됩니다.
The complexity is so great, and it gets hard every year.
그 복잡성은 너무나 거대해서, 매년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So in many ways, we’re getting further from understanding origin of life every year, once we understand the greater complexity of the cell.
그래서 여러 방면에서, 우리가 매년 세포의 복잡성에 대해 더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생명의 기원을 이해하는 것에서 더 멀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역자주: 이런 세포 내부 영상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이미지 연결된 영상을 확인해보세요~]
Q. What about the probability arguments for 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에 대한 확률적 가능성(다중우주 이론) 주장은 어떤가요?
If one wants to use a probability argument to say that there are, must be billions of inhabitable planets in our universes, in our universe. Even going with string theory and say suggesting that there are Multiverses. So there’s lots of universe, like ours that go beyond our universe.
만약에 누군가가 우주엔 수십억개의 (생명체가) 살 수 있는 별들이 있을 거고, 혹은 끈 이론을 통 다중우주, 즉 우리 우주를 초월한 많은 우주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확률적 가능성을 주장한다해도
The numbers are still difficult.
그 확률은 굉장히 낮습니다.
So, remember, just the protein in a single yeast cell are 10 to the 79 billion combinations.
한 개의 효모 세포 내 단백질만 해도 10의 790승의 조합이 가능하다고 했던 걸 기억하시죠?
The number of elemental particles in the universe is 10 to the 90. We got 10 to the 90th elemental particles in our universe. Let alone planets.
우주의 원소 입자의 수량이 10의 90승입니다. 우리 우주에는 10의 90승의 원소 입자가 있습니다. 행성은 고사하고요.
Particles in our universe is the estimate, is 10 to the 90. I am talking so that’s a 1 with 90 zeros after it.
약 10의 90승, 1 다음에 90개의 0이 있는 숫자를 말하고 있는 겁니다.
Just the interactome combinations of just protein-protein in a single yeast cell is 10 to the 79 billion. That’s a 1 not with 90 zeros, but with 79 billion zeros after it.
효모 세포 내 단백질-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체(interactome)의 조합가능성이 10의 790억승입니다. 그건 1의 90개 영이 아니라, 790억개의 영이 뒤에 있는 거에요.
These are the types of numbers, we’re talking about.
이런 종류의 수(가능성)을 얘기하고 있는 겁니다.
It’s hard to fathom, then in addition to just those 3,000 proteins that are there in that single yeast cell.
그리고 효모 세포 안의 3천개의 단백질이 존재하니, 더 알 수 없는 겁니다.
You still need all the DNA, all the RNA, You need to have all the carbohydrates. Remember, the carbohydrates have all their own definition order by the way they’re hooked up.
그리고 DNA, RNA, 모든 탄수화물들이 필요하죠. 탄수화물들은 탄수화물들끼리 연결되기 위한 그들만의 정의(방법)이 있었죠.
Remember just D-mannose, you can put more information in the carbohydrates that are on a cell surface than you store in DNA and RNA combined, and that information has to come from an original DNA template plus a series of other enzyme Cascades.
D-mannose, 세포 표면의 탄수화물에 입력할 수 있는 정보가 DNA와 RNA를 합한 것보다 더 많습니다. 그리고 그 정보는 DNA 템플릿과 다량의 효소에서 옵니다.
All of this is in that cell in addition to those interactomes.
상호작용체 외에도 이 모든 것들이 세포에 있습니다.
It’s very complex, origin of life is a complex problem and it’s hard to throw this at the feet of just large numbers.
이건 굉장히 복잡해요, 생명의 기원 문제는 단순히 큰 숫자들을 던져 놓기엔 너무 복잡한 문제입니다.
이상: 아래 제임스 투어 인터뷰 영상에 대한 번역 (일부)
(인터뷰 영상 번역 끝!!)
'교차검증 프로젝트: CROSS+CHECK > 과학 강의 (Reading Lecture) 한-영 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가 과학의 발전을 막았다구요?! (2부)- MIT 이안 허친슨 교수 (feat. 리차드 파인먼) (0) | 2021.04.04 |
---|---|
기독교가 과학의 발전을 막았다구요?! (1부) -MIT 이안 허친슨 교수가 말하는 과학주의(Scientism)- (0) | 2021.03.31 |
제임스 투어: 생명의 기원은 아직 설명 되지 않았다 (Part 3/4) (2) | 2021.01.16 |
제임스 투어: 생명의 기원은 아직 설명 되지 않았다 (Part 2/4) (0) | 2021.01.15 |
제임스 투어: 생명의 기원은 아직 설명 되지 않았다 (Part 1/4)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