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주의

(4)
기독교가 과학의 발전을 막았다구요?! (2부)- MIT 이안 허친슨 교수 (feat. 리차드 파인먼) 1부에 이어 계속 '오직 과학', 과학주의(Scientism)에 대한 고찰 (1부)- MIT의 이안 허친슨 교수 지난 글에서 소개한 MIT 대학의 과학자 이안 허친슨(Ian H. Hutchinson) 교수의 강의를 듣게 되어 그 강의를 글로 남겨봤습니다. 이안 허친슨 MIT 교수 지난 번 소개 했던 라이스 대학의 합성화학자 bitl.tistory.com 역사. 과학이 아닌 지식의 예 - 과학주의적 전제에 대한 반론 - (예수의) 부활사건이나 쥴리어스 시저가 기원전 44년 로마 원로원의 계단에서 칼에 찔려 같은 역사적 주장에 대한 진실성을 입증하는 방법은 당연히 온전히 과학적 방법이 아닙니다. The way you establish the truth of a historical claim, like the..
기독교가 과학의 발전을 막았다구요?! (1부) -MIT 이안 허친슨 교수가 말하는 과학주의(Scientism)- 지난 글에서 소개한 MIT 대학의 과학자 이안 허친슨(Ian H. Hutchinson) 교수의 강의를 듣게 되어 그 강의를 글로 남겨봤습니다. 이안 허친슨 MIT 교수 지난 번 소개 했던 라이스 대학의 합성화학자 제임스 투어 박사 다음으로 유튜브, 팟캐스트를 듣다가 알게된 또 다른 과학자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이번엔 MIT에서 핵융합을 연구하신 핵물리 bitl.tistory.com 연구주제가 어렵기도 하고 (무려 핵융합...) 사회 분위기상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이 많이 부각된 시대라, 구글 검색을 해도 나오는 건 아래와 같은 인용 정도입니다. “가벼운 원자핵을 융합해서 더 무거운 원자 핵을 만들어야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결합된 형태의 수소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태양보다 10배 더 뜨거운 온도..
이안 허친슨 MIT 교수 지난 번 소개 했던 라이스 대학의 합성화학자 제임스 투어 박사 다음으로 유튜브, 팟캐스트를 듣다가 알게된 또 다른 과학자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이번엔 MIT에서 핵융합을 연구한 핵물리학자/공학자(?) 이안 허친슨 교수입니다. (동명이인의 영화 배우와 모터사이클 선수(1979년생)가 있어서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해요) 제임스 투어 교수/박사 (James M. Tour | Rice University) (저명한 화학자, 나노공학자인데 한국에 제대로 된 소개글이 하나도 없어서 만들어봅니다. '제임스 투어'로 검색하면 여행사만 나오더라구요. *화학전공이 아니라..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어 bitl.tistory.com 이안 허친슨 Ian H. Hutchinson 박사/교수 (MIT) 이안 허친슨(Ian ..
과학적 사실로 알려졌던 것들이 틀렸던 적은 없나요? (Feat. 존 매독스) 1. 소위 과학적 사실이 틀렸던 것으로 드러났던 적은 없나? (제임스 투어 강의 - The mystery of Origin of Life (파트2)중 일부 발췌) [슬라이드 번역] ● 우주엔 시작이 있었는가? 1964년 과학적 "사실fact"이 달라졌습니다. 정상(定常) 우주론/정류 상태 이론(Steady State Theory)은 빅뱅 이론에 의해 대체 되었습니다. What Is the Big Bang? | NASA Space Place – NASA Science for Kids The Short Answer: The big bang is how astronomers explain the way the universe began. It is the idea that the universe began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