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던 피터슨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육아특집: 3부-육아 철학/이론 비교 (조던 피터슨 vs. 가보 마테+고든 뉴펠드) - (주제: 수면교육, '타임아웃', 영유아 영상 0. 들어가는 말 "You're my whole world 넌 내 세상의 전부야" 누군가가 들으면 부담스러울 것 같은 저런 말을 해도 저 대사가 나오는 장면이 사랑스러운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라면 아마 저런 말도 그저 '스윗sweet'하게 들릴 수 있겠죠. 그만큼 아이는 부모에게 소중한 존재이고 그런 아이들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다른 어떤 것보다 클 겁니다. 그런 소중한 아이를 키우는 '방법'과 '철학'에 대한 어떤 의견과 제안이 본인이 아이를 대하는 방법과 차이가 있다는 걸 느끼게 되면 '틀린 기분' 내지는 '지적 받는 기분'이 들겠죠. 그렇기 때문에 '사람의 성향'에 따라 자기 긍정이 강한 분들은 '내가 하고 있던 게 제일 낫다' 고 생각하거나, 깊게 생각하는 걸 싫어하는 성향의 부모들은 '어차피 .... 육아특집: 2부- 조던 피터슨이 제안 하는 다섯 가지 규칙(feat. 오은영 박사의 10가지 지침) (육아특집: 1부-유행하는 육아 철학 vs. 성경의 잠언 (feat. 조던 피터슨)에 이어 계속...) 배경 요약: 육아 중인 직장인이자 아빠로서 요즘 유행하는 육아철학과 성경의 가르침과 비교해보다가 우연히 읽게된 조던 피터슨 (Jordan Peterson)의 책 '12가지 인생의 법칙'에서 말하는 육아지침에 대해 소개해보고 있습니다. 심리학을 공부하신 분이라면 들어보셨을 행동주의(Behavioral Psychology) 심리학자 스키너(B.F Skinner) 라는 이름이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비유인 '당근'과 '채찍', 즉 '보상'과 '처벌'로 어떤 행동을 자주 하게 하거나 안하게 훈련시키기 위해 고안된 '스키너 상자'도 유명합니다. 그는 그 방식으로 무려 비둘기를 훈련 시켜서 탁구를 하게 하고 .. 1.9 사회학의 반문 (feat. 조던 피터슨) #1 우리는 우리가 태어난 환경, 문화적 배경의 영향을 받습니다. 아주 자연스럽게 우리 주위의 환경,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을 받아드리면서 자신의 세계를 구축해나가죠. 인지과학 실험 결과를 언급하며 말했듯이 우리 인간은 의심을 하는 것보다 무언가를 믿을 준비를 하고 태어난 것처럼 보입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 같기도 합니다. 사람은 태어나 자라면서 무엇을 배우기 위해서는 그걸 가르치는 사람을 믿어야 합니다. 받아들이기 위해선 먼저 ‘믿고’ 의심은 그 다음입니다. 처음부터 모든 걸 의심하는 아기는 새로운 걸 배우는 게 무척 느릴 겁니다. 우리는 우리에게 잘해주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한 사람을 좋아한다는 것은 그 사람이 가진 신념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 우리는 우리가 존.. 1.2 현실로의 초대 Welcome to the real Reality 흑백? 그레이스케일? Black and White? Greyscale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은 현대적이지 않다고 말하면서도 어쩌면 우리는 세상을 흑백논리로 바라보면 경우가 의외로 많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특히 종교라는 걸 생각해봤을 때, 종교인이라는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사람들은 단순한 흑백논리로 세상을 바라본다고 생각하는 한편, 종교인을 바라보는 시선 자체도 이분법적 시선에서 자유롭지 않을 것 같습니다. We like to say that binary mindset is old-fashioned yet may be we look at the world as black and white. Especially, about the subject of religion, there might be a prejudice..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