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차검증 프로젝트: CROSS+CHECK

(42)
다윗은 실존인물 인가요? (1부: 서론 - 오해 걷어내기) 1부: 문제를 풀기 위해 먼저 풀어야 하는 오해들 1. 성경/성서에 대한 오해 우선 '성경은 사실인가요?' 라는 단순한 질문 자체에 문제가 있습니다. 다양한 장르로 구성된 문학 작품의 사실 여부를 논하려면 좀 더 세부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신교 기준으로 66권의 다른 책이 한 권으로 편찬된 걸 성경이고 그 중에서 '역사서/선지서'라고 불리는 책들에 대해서는 좀 더 고고학과 역사학적 조사를 통해 사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아볼 수 있겠죠. (성경에 대해 반기독교적 편견을 배제하고 바라보고 싶으신 분은 이 글을 참고 해주세요) 물론 창세기라는 내러티브에서도 과학적으로 검증을 시도해볼 수 있는 부분은 있다고 다른 글에서 언급한 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주가 늘 존재해왔는지, 빅뱅 이론..
과학과 신앙은 공존 할 수 없나요? -존 레녹스 교수 강의 (3부) (feat. 스티븐 호킹, 로렌스 크라우스, 토마스 네이글) 2부에 이어 존 레녹스 교수 강의 (2부) (feat. 스티븐 호킹, 스티븐 싱어, 버트런트 러셀, 아인슈타인) 1부에 이어 존 레녹스 교수의 강의 내용을 기록 후, 번역합니다. 존 레녹스 교수 강의 (1부) (feat. 칼 세이건, 리차드 도킨스, 리차드 파인먼, 스티븐 호킹) 오늘은 제가 참 좋아하는 학자/연사의 강 bitl.tistory.com 자, 여기에 집중해 봅시다. 중력 법칙의 뉴턴이 있었습니다. 의문의 여지 없이 가장 뛰어난 과학자 중의 하나이죠. 그리고 스티븐 호킹이 있습니다. So, let's focus this. There was Newton, law of gravitation, one of the most brilliant scientists of all time without qu..
과학과 신앙은 공존 할 수 없나요? -존 레녹스 교수 강의 (2부) (feat. 스티븐 호킹, 스티븐 싱어, 버트런트 러셀, 아인슈타인) 1부에 이어 존 레녹스 교수의 강의 내용을 기록 후, 번역합니다. 존 레녹스 교수 강의 (1부) (feat. 칼 세이건, 리차드 도킨스, 리차드 파인먼, 스티븐 호킹) 오늘은 제가 참 좋아하는 학자/연사의 강의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산타클로스 같은 풍채에 유머와 따뜻한 마음을 겸비한 지성의 소유자, 옥스포드 대학 석좌 교수인 존 레녹스 박사입니다. 리차 bitl.tistory.com (이하 존 레녹스 교수의 말) 자, 준비 작업을 마쳤으니 (오해를 걷어냈으니), 이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세 개 주요 영역을 봅시다. [17:10] 첫째는 믿음에 대한 혼동, 둘째는 과학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한 것 셋째는 설명의 본성에 대한 오해 So having cleared the groud, let's look at th..
기독교가 과학의 발전을 막았다구요?! (2부)- MIT 이안 허친슨 교수 (feat. 리차드 파인먼) 1부에 이어 계속 '오직 과학', 과학주의(Scientism)에 대한 고찰 (1부)- MIT의 이안 허친슨 교수 지난 글에서 소개한 MIT 대학의 과학자 이안 허친슨(Ian H. Hutchinson) 교수의 강의를 듣게 되어 그 강의를 글로 남겨봤습니다. 이안 허친슨 MIT 교수 지난 번 소개 했던 라이스 대학의 합성화학자 bitl.tistory.com 역사. 과학이 아닌 지식의 예 - 과학주의적 전제에 대한 반론 - (예수의) 부활사건이나 쥴리어스 시저가 기원전 44년 로마 원로원의 계단에서 칼에 찔려 같은 역사적 주장에 대한 진실성을 입증하는 방법은 당연히 온전히 과학적 방법이 아닙니다. The way you establish the truth of a historical claim, like the..
기독교가 과학의 발전을 막았다구요?! (1부) -MIT 이안 허친슨 교수가 말하는 과학주의(Scientism)- 지난 글에서 소개한 MIT 대학의 과학자 이안 허친슨(Ian H. Hutchinson) 교수의 강의를 듣게 되어 그 강의를 글로 남겨봤습니다. 이안 허친슨 MIT 교수 지난 번 소개 했던 라이스 대학의 합성화학자 제임스 투어 박사 다음으로 유튜브, 팟캐스트를 듣다가 알게된 또 다른 과학자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이번엔 MIT에서 핵융합을 연구하신 핵물리 bitl.tistory.com 연구주제가 어렵기도 하고 (무려 핵융합...) 사회 분위기상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이 많이 부각된 시대라, 구글 검색을 해도 나오는 건 아래와 같은 인용 정도입니다. “가벼운 원자핵을 융합해서 더 무거운 원자 핵을 만들어야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결합된 형태의 수소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태양보다 10배 더 뜨거운 온도..
과학과 신앙은 공존할 수 없나요? -존 레녹스 교수 강의(1부)(feat. 칼 세이건, 리처드 도킨스, 리차드 파인먼, 스티븐 호킹) 오늘은 제가 참 좋아하는 학자/연사의 강의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산타클로스 같은 풍채에 유머와 따뜻한 마음을 겸비한 지성의 소유자, 옥스포드 대학 석좌 교수인 존 레녹스 박사입니다. 리처드 도킨스, 크리스토퍼 히친스 등 무신론자과의 토론 영상에서 처음 접하게 된 후, 이 분의 많은 강의를 들었습니다. 스티븐 호킹와 몇 년을 차이로 두고 캠브리지 대학을 다닌 후배이기도 하고, C.S 루이스의 마지막 강좌들을 현장에서 들은 이력도 흥미롭습니다. 수학 학자이면서 프랑스어, 러시아어, 독일어를 구사하는 외국어 능력의 소지자입니다. "MA MMath MA (Bioethics) Dphil PhD DSc" 주로 다른 저자들은 MA, PhD로 끝나는 란에 길게 나열된 학력에 드러나듯이 여러 학문에 대한 열정도 있어 논..
이안 허친슨 MIT 교수 지난 번 소개 했던 라이스 대학의 합성화학자 제임스 투어 박사 다음으로 유튜브, 팟캐스트를 듣다가 알게된 또 다른 과학자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이번엔 MIT에서 핵융합을 연구한 핵물리학자/공학자(?) 이안 허친슨 교수입니다. (동명이인의 영화 배우와 모터사이클 선수(1979년생)가 있어서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해요) 제임스 투어 교수/박사 (James M. Tour | Rice University) (저명한 화학자, 나노공학자인데 한국에 제대로 된 소개글이 하나도 없어서 만들어봅니다. '제임스 투어'로 검색하면 여행사만 나오더라구요. *화학전공이 아니라..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어 bitl.tistory.com 이안 허친슨 Ian H. Hutchinson 박사/교수 (MIT) 이안 허친슨(Ian ..
예수 신화(그리스도 신화) 조사 후기 : Uncovering the myth to find the Truth 1. 일반인으로서 감상 지난 한 달 간 짧지 않은 시간을 들여 예수와 평행한다는 신화들을 찾아보고, 예수신화설(또는 그리스도 신화론)의 역사를 살펴봤습니다. 한 달이란 짧은 시간에 다 살펴보기엔 굉장히 많은 인물들이 있었고, 또 1800년대 저자들의 옛날 영어로 쓰여진 저서를 샅샅히 다 살펴보기엔 저서들의 분량이 엄청 났기 때문에 인물 소개와 관심이 가는 주요저서들을 훑어보며 지나갔습니다. 21세기 인터넷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예수신화설/그리스도 신화론이 어떤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흥미롭게 조사해봤지만, 이 신화설의 발생은 특별하지 않았습니다. 그 역사을 보자면 200여년 전부터 이미 존재했었고, 오랜 역사를 지닌 거에 비해 주장의 근거를 보면 특별..